기사연, 7월 21~29일 개신교인 성인 1000명 인식 조사…"보수 성향 중직자들이 교회 의견 과잉 대표"
[뉴스앤조이-최승현 기자] 올해 7월 정부에서 내놓은 2주간 소모임·식사 금지 조치 등 '종교 집회 자제' 권고에 대해, 개신교인 과반수가 '종교의자유 탄압이 아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기사연·김영주 원장)은 7월 21~29일 전국 성인 남녀 개신교인 1000명을 대상으로 현안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코로나19 관련 응답 내용을 8월 25일 공개했다.
개신교인들은 코로나19 대처에 대한 정부 신뢰도를 묻는 문항에 73.7%가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방역 정책에 대해 정부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2.7%였다.
이 시기 교회 소모임·식사 금지 조치가 시행됐다가 해제된 일과 맞물려 '정부·지자체의 종교 집회 자제 권고 조치가 종교의자유 침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57.2%가 '그렇지 않다'('매우 그렇지 않다' 21.4%, '별로 그렇지 않다' 35.8%)고 응답했다. 종교의자유 침해라고 생각하는 응답은 35.5%('약간 그렇다' 21.6%, '매우 그렇다' 13.9%)나 나왔다.
응답자 87.9%는 코로나19 확산 상황이 심각하다고, 9.9%는 심각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위험성에 대해서는 '전혀 걱정하지 않는다'가 7%로 나타났고, 73.5%가 '조금 걱정된다', 18.7%가 '상당히 두려워한다', 0.8%가 '너무 두려워 일상 생활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경제 활성화와 코로나19 확산 방지 정책 중 무엇이 더 필요한지 묻는 문항에는 73.2%가 감염 확산 방지 정책이라 응답했다. 경제 활성화 정책이 우선이라는 응답은 20.5%였다.
이번 인식 조사로 기사연은 개신교인들의 정부 신뢰도 및 종교의자유 탄압 인식도가 개신교인들의 정치적 입장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4월 총선 이후 중도 성향이라 밝힌 개신교 신자 비율이 38.9%로 보수(28.8%)나 진보(31.4%)보다 크게 높아졌는데, 이념 성향에 따라 정부 신뢰도가 크게 차이 났다는 것이다. 코로나19 대처에 대한 정부 신뢰도 문항을 이념 성향별로 살펴보면 이를 알 수 있다. 보수 계층에서는 긍정 59.3%, 부정 38.7%, 중도 계층에서는 긍정 68.1%, 부정 24.1%, 진보 계층에서는 긍정 93.3%, 부정 6.2%로 나타났다.
또 정부 조치를 종교의자유 침해로 생각하는 비율(35.5%)은 보수 성향에서 51.5%로 가장 높았고, 종교의자유 침해가 아니라는 비율(57.2%)은 진보 성향에서 73%로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를 토대로 기사연은 "보수적 스탠스를 지닌 소수 교인이 현재 전체 한국교회를 과잉 대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교회 내 15.7%를 차지하는 중직자들 가운데 정부의 종교 집회 자제 권고가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49.9%로 절반에 달했다. 반면, 전체의 84.3%로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비중직자 사이에서 정부 조치가 타당하지 않다고 느낀 이들은 32.8%로, 중직자 계층과 17.1% 차이가 났다.
기사연은 "중직자는 소수이지만 교회 전체의 언로와 실천을 구체화하는 가장 핵심적 권력을 소유하고 있다. 이들의 의견이 교회를 대표해 도드라지는 것은, 이들이 교회나 일부 교회 연합체 내부에서 과한 권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지, 개신교 신자 대부분이 그들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어서가 아니다"고 했다. 아울러 "대부분의 평범한 개신교인들은 그들의 행태를 납득하기 어려워하고 있다. 대부분의 평범한 신자들은 상식이 무엇인지 아는데, 교회를 과하게 대표하고 있는 일부 지도자들은 신자들의 상식이 무엇인지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데이터는 기사연이 매년 전국 성인 남녀 개신교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 사회 주요 현안에 대한 개신교인 인식 조사' 중 코로나19 관련 결과만 먼저 공개한 것으로,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이다. 코로나19를 비롯한 나머지 사회 현안에 대한 전체 조사 결과는 10월에 발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