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모더니즘 사회에서 한국교회는 어떻게 메시지를 전해야 하는가

클라이브 해밀턴(Clive Hamilton)은 <인류세 Defiant Earth>에서 근대 철학을 비판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근대적 성격의 거대 서사 지배 질서와 권력관계 구조에 합법성을 부여했다면, 이제 인류세가 도래함으로써 합법성을 잃게 된다. (중략) 새로운 서사는 기득권을 위해 복무하지 않으며, 다만 그들의 완벽한 실패를 드러낸다." (132쪽)

이 시대가 거대 서사(grand narratives)가 붕괴한 시대라는 지적이다. 이것은 이미 리오타르(J. F. Lyotard)를 통해 '선포'된 사실이다. 프랑스 68혁명 이후 세계가 포스트모던으로 들어섰으며, 거대 서사가 무너지고 개인과 사소한 일상이 더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는 것이다.

거대 서사는 사람들을 모으는 힘을 지니고 있다. 그뿐 아니라 거대 서사에는 사람들을 통제하는 기능도 있다. 해밀턴이 기술하듯이, 거대 서사는 지배층의 질서유지를 위한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서구 사회에서 거대 서사의 중심이 기독교 메시지였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사람들은 왜 서구 사회에서 기독교가 그렇게 급속도로 붕괴했는지 궁금해한다.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거대 서사가 사람들에게 통하지 않는 시대가 되었다는 사실에 있다. 거대 서사 붕괴와 함께 중요해진 것은 개인과 사소한 일상이다. 사람들은 더 이상 기독교의 거대 서사 아래 자기 자신과 일상을 희생하며 교회에 모이지 않는다. 사람들이 가장 행복을 느끼는 시간은 교회에 모여 거대 서사의 메시지 아래 예배하고 기도하는 시간이 아니라, 집에서 드라마를 보며 쉬거나 밥을 먹는 시간이다.

한국도 서구 사회처럼 포스트모더니즘 사회로 진입한 지 오래다. 한국 사회에서도 종교적 거대 서사나 민족적 거대 서사가 통하지 않게 되었다. 한국교회가 붕괴하고 있는 이유는 교회의 도덕적 타락, 전도 활동 부재, 사회적 영향력 감소라기보다 (더 근본적으로는) 한국도 거대 서사가 붕괴한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에 깊숙이 진입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의아해하는 한 가지 현상이 더 있다. 왜 한국 사회에서 신천지 같은 이단이 판을 치는지에 대한 궁금증이다.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그것도 21세기에 어떻게 전근대사회에서나 있을 법한 집단 광기가 한 교주를 통해, 그리고 한 이단 집단을 통해 분출되고 있는 것일까.

그 이유도 거대 서사 붕괴에서 비롯된다. 거대 서사가 붕괴한 사회를 사는 사람들은 불안과 두려움을 더 크게 느낀다. 삶의 목표를 상실한 것 같은 허탈한 마음을 갖는다. 그래서 오히려 더욱더 거대 서사를 갈망한다. 이단 교주의 특징은 사람들의 그러한 마음을 잘 파악하여 그들에게 만족을 주는 거대 서사를 만들어 낼 줄 안다는 것이다.

얼마 전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신옥주의 타작마당이나 피지 섬으로의 집단 이주는 그가 얼마나 교묘하게 거대 서사를 지어내 사람들 마음을 움직였는지를 여실히 보여 준다. 타작마당은 서로의 죄를 눈에 보이게 고백하고 속죄하는 것으로 눈에 보이는 거듭남을 안겨 준다. 그렇게 속죄를 받은 사람만이 에덴동산과 같은 피지 섬의 집단 거주지로 '들어갈' 자격이 주어지는 것이다. 그들에게 구원, 즉 거대 서사는 실제적으로 작동하는 원리이다.

신천지는 그보다 더 큰 거대 서사를 지어내 사람들을 현혹했다. 그들은 성경의 요한계시록을 이용하여 거대 서사를 만들어 냈다. 14만 4000명이라는 숫자와 이기는 자 판타지를 결합하여 육체적 현세 영생의 거대 서사를 전파한 것이다. 거대 서사 붕괴로 영적 허기를 경험하고 있는 사람들은 신천지의 거대 서사에서 영적 만족감을 채운다. 뭔가 조그마한 일상보다 큰 목적을 위해 자신의 삶을 희생한다는 것은 의외로 큰 희열과 만족을 주고, 무엇보다 초월감과 전능감을 가져다준다. 거대 서사는 이렇게 사람들 마음을 휘저어 놓는다.

기독교는 위기를 겪을 수밖에 없다. 기독교 메시지, 성경 이야기는 주로 거대 서사로 '해석'되고 '선포'되어 왔기 때문이다. 거대 서사 붕괴가 기독교 붕괴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런 현실 앞에서 클라이브 해밀턴은 매우 중요한 이야기를 우리에게 던져 준다. "포스트모더니즘 세계가 지식, 언어, 텍스트의 세계로 진입한다면, 인류세의 세계는 우리를 '쿵' 하고 지구로 되돌려 놓는다."(132쪽) 거대 서사를 붕괴시킨 포스트모더니즘 세계도 인류세 앞에서는 완전히 다른 사상의 체계를 가져야 한다는 말이다.

거대 서사가 붕괴한 이 시대에 기독교가 살아남으려면 그동안 거대 서사로 해석하고 선포했던 성경 내러티브를 어떻게 설득력 있게 전하느냐에 달려 있다. 그런데 계속 성경 내러티브를 거대 서사 측면에서만 다룬다면 기독교가 살아남을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인다. 사람들은 아무리 거대 서사를 새로운 방식으로 전해도, 거대 서사 자체에 관심을 두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해밀턴이 주장하고 있는 대로, 기독교는 성경 내러티브를 거대 서사에서 '쿵' 하고 지구의 담론으로 전환해야 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그동안 사람들에게 '하늘'만 쳐다보며 살도록 했다면, 이제는 사람들에게 '땅의 일'(기후변화, 불평등 문제 등)에 관심을 품도록 성경 내러티브를 다시 해석하고 선포하는 일을 부지런히 해야 한다.

기독교는 거대 서사 붕괴와 함께 붕괴했고, 거대 서사만 진리로 외치던 교회 설교자들은 자신의 메시지가 더 이상 사람들에게 통하지 않는 현상을 보면서 당황해하고 있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시대에 대한 이해를 통해, 더 나아가 지금 우리가 들어선 세계는 '인류세'라는 사실을 뼈저리게 인식하면서 기독교 신학과 메시지를 재구성한다면, 거대 서사가 붕괴되어 영적으로 허덕이는 이 시대 사람들에게 충분히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 교회여, 일어나라, 빛을 발하라.

장준식 / 미국 실리콘밸리 세화교회 담임목사, GTU PhD candidate(조직신학 전공)

외부 기고는 <뉴스앤조이>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