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2022년 목회자 성범죄 10년 취재 '거룩한 범죄자들' 기사 리스트 ① '가해 목회자 259명' 성범죄 판결 10년 치 분석 ② 10·20대 여성 교인에 집중된 피해 ③ 성범죄 목회자 감싸고돈 교단들 ④ '징계 불가'한 목사들…아무도 책임지지 않는다 ⑤ 성범죄 저지르고도 강단에 서는 목사들 ⑥ 해외 교단 사례로 본 목회자 성폭력 예방 및 대응 ⑦ 매년 53만 기관 성범죄 경력 조회…교회는 '예외' ⑧ 주요 교단장들 "성범죄 경력 조회 도입해야" ⑨ 신고부터 징계까지, 피해자의 자리는 없었다 ⑩ 징계하면 끝? '피해 회복' 없는 교단 시스템 ⑪ 교인 97.9% '목회자 성범죄 경력 조회' 찬성 [다큐] 거룩한 범죄자들: 2013~2022년 목회자 성범죄 10년 취재 본 기획물은 정부 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관련기사 '거룩한 범죄자들' 공개 좌담회 [뉴스레터 '처치독' 112호] 목회자 성폭력과 교단의 책임 '거룩한 범죄자들' 후속 취재를 시작합니다 교회 내 성폭력 가해자 71.5%는 목회자·리더…교단 징계는 40%뿐 '거룩한 범죄자들', 노회 징계가 필요하다 '목회자 성범죄 경력 조회' 도입, 논의 시작한 교단들 [거룩한 범죄자들 1년 후] 성범죄 목회자 징계하겠다던 교단들…실제 징계 사례는 '1건' <뉴스앤조이> '거룩한 범죄자들', 양성평등 미디어상, 한국기독언론대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