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 '언론 재갈 물리기'…CBS "어영부영 넘어가지 않겠다"

CBS 노조가 방송통신위원회의 CBS 시사 프로그램들에 대해 규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과 관련 "정당성 논란에 휩싸인 '유사 정권'의 오만과 독선이 이제 용납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다"고 비판했다.

CBS 노조는 지난달 31일 성명을 통해 "채 한 해도 넘기지 못한 정권이 우리나라 방송 언론의 맏이 격인 CBS더러 언론이 아니라고 뇌까리는 모습인데 똑똑히 짚어 주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방통위는 CBS 김현정의 뉴스쇼 등 일부 방송의 시사 프로그램에 "전문 편성 방송사업자가 법으로 정한 전문 분야를 벗어나 정치, 경제, 사회 등 갈등 상황을 보도·논평하고 있다"며 불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들 유사 보도 목록에 오른 프로그램은 대부분 정권을 비판하거나 균형적인 입장을 내보였던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언론 재갈 물리기'라는 비판이 일었다.

이에 대해 CBS 노조는 "CBS는 보도의 제한 없이 1954년 방송 허가를 받은 이래, 1962년 방송 사항이 제도적으로 명기되면서부터는 '시사 뉴스'의 기능을 당연히 포함해 왔다"며 "현 정권의 뿌리라고 하는 유신 독재 기간에도 CBS의 기능은 보도를 비롯한 '방송 사항 전반'이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 지위에 노골적인 공격이 들어온 때는 전두환 신군부가 광주의 피로 권력을 찬탈한 직후다. 보도 기능이 박탈된 것으로, 그 이유가 '사회문제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고, 사주가 반골 인사, 반정부 성향 보도'였음이 지난 2010년 진실화해위원회의 조사 결과 확인되기도 했다"며 "전두환 정권이 종말을 고할 무렵부터 다시 보도 기능을 수행해 왔지만, CBS의 비판이 껄끄러운 무리들은 되지도 않는 시비를 걸곤 했다. 그런 군부 독재 잔존 세력의 딴죽에도, 물론 CBS의 가치는 흔들리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제 창사 60주년을 맞아 뒤늦게나마 과거 탄압에 대한 정당한 피해 보상을 기대하는 마당에 '유사 보도' 운운하는 소리를 들으니 어처구니가 없다"며 "현재의 방송 가운데 사실상 유일하게 제 목소리를 내는 CBS가 두렵긴 두려운가 보다 생각되기도 하지만, 우리의 역린을 건드린 정권에 어영부영 대응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정헌 / <민중의소리> 기자
본보 제휴 <민중의소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