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직한의 정품교회론 11건의 기사가 있습니다.

  • [뉴스레터 '처치독' 124호] 임보라 목사님을 추모합니다

    [뉴스레터 '처치독' 124호] 임보라 목사님을 추모합니다

    신앙에 진지해지는 시간독자님 안녕하세요, 요셉입니다. 잘 지내셨나요?저는 요즘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어요. 다음 주 고등부 수련회가 시작하거든요. 지난해부터 임원을 맡게 된 이후, 세부 일정을 제가 짜게 됐어요. 조별 성경 공부와 저녁 집회를 제외한 남는 시간에 무엇을 해야 아이들이 재미있어할지 고민이 '매우' 커요. 아이들에게는 사실 노는 시간이 수련회의 백미잖아요?(웃음)독자님은 교회학교에 다닐 때 기억에 남는 수련회가 있나요? 그 시절, 제가 다닌 교회는 이상하게 극기 훈련 분위기가 강했어요. '천로역정' 컨셉이라며 얼차려를

    연재
    박요셉
    2023-04-18
  • 정품사회를 위해, '낙인'에서 '용인'으로

    정품사회를 위해, '낙인'에서 '용인'으로

    나에겐 손녀 둘, 손자 하나가 있다. 각각 9살, 7살 그리고 4살이다. 어느 날 큰 손녀가 말했다. "하비(할아버지)! 우리 반 애들은 '겹사돈'이란 말을 모르더라구!" 나는 그걸 친구들이 어떻게 알겠냐며 자지러지게 웃었다. 이미 밝혔지만 우리 두 며느리는 자매 사이다. 첫 손녀는 태어나면서부터 나와 겹사돈인 집 외손녀로 태어났으니 겹사돈이란 말을 어려서부터 들어 왔다. 초등학교 반 아이들과 자기소개를 하다가 두 할아버지가 겹사돈 사이라는 말을 한 모양인데, 그 어린아이들이 겹사돈이 뭔지 무슨 수로 알겠는가. 내가 내 친구들에게

    연재
    고직한
    2021-05-04
  • '정精품교회'야말로 '정正품교회'다

    '정精품교회'야말로 '정正품교회'다

    나는 지금까지 정품교회를 말하면서도 성경적 교회론을 제대로 다루지 않았다. 논리적으로 보면 가장 먼저 다뤄야 할 기초이자 근본이지만, 연재 막바지에 와서야 다루려고 한다. 교회론을 먼저 다루면 재미가 없을 것 같아 의도적으로 뒤로 뺀 것이다. 그동안 '성경적 교회론이란 이런 것'이라고 연역적으로 서술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그것을 전제로 정품교회론을 펼쳐 온 것이나 다름없다. 이제 그 전제와 기초를 드러낼 때가 왔다. 성경적 교회론을 정품교회의 시작이 아닌 클라이맥스로 다루는 것도 나쁘진 않을 것이다. 세상 사람들이 하찮게 보는 교회

    연재
    고직한
    2021-04-02
  • 점으로 흩어진 정품교회 인자因子들을 선·면으로 잇자

    점으로 흩어진 정품교회 인자因子들을 선·면으로 잇자

    사례1"여보세요? 혹시 고직한 간사님 아니세요? 목소리가 여전하세요!"한 청년이 '조우네마음약국'의 유튜브 방송과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일대일 상담을 거쳐 내게 전화를 했다. 알고 보니 IVF 출신 40대 초반 남성이었다. 이 청년은 직업이 약사인 조울러라고 했다. 대학교 때 조울증이 생겼는데 비교적 초기에 발견해서 일찍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고 한다. 현재도 통원 치료를 받으며 약을 먹고 있으나 상당히 안정적으로 살고 있다고 했다.발병 당시 이 청년이 조기 대응하는 데 결정적 도움을 준 곳은 바로 교회였다. 담임목사가 정신과 전문의

    연재
    고직한
    2020-12-07
  • '정품교회' 되려면 '정품가정'부터 세워야

    '정품교회' 되려면 '정품가정'부터 세워야

    며칠 전에 줌(Zoom) 화상회의를 통해 ET(Empowerment Time)로 진행한 '패밀리 파워'(조우네마음약국 정기 모임)는 정말 신나고 감동적이었다. 우리는 이 시간을 '패밀리 파워 학예회'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울러 부모들 중심으로 시작한 모임인데, 조울러인 자녀들도 참여하고 있다. 우리가 이 시간에 학예회라는 이름을 붙인 것은 자녀들이 각자의 끼를 뽐내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부모가 아이 손잡고 참가하는 재롱 잔치라는 느낌이랄까.그렇다고 공연자들 나이가 어린 것은 아니다. 20대 후반에서 30대 후반. 겉으로 보면 여느

    연재
    고직한
    2020-11-02
  • '포노사피엔스' 시대, 교회는 정서적·정신적 약자를 대상으로 어떻게 사역해야 할까

    '포노사피엔스' 시대, 교회는 정서적·정신적 약자를 대상으로 어떻게 사역해야 할까

    지금까지 한국교회가 정품교회로 나아가는 데 어려움을 주는 현실적 문제를 짚어 봤다. 이 문제들을 풀어내기가 정말 쉽지 않다. 그러나 결코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바른 신학, 제대로 된 지식과 정보,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형성할 수 있는 집단 지성을 활용한 컬래버레이션(Collaboration) 등 잠재력을 끌어낼 전략적 운동이 일어난다면, 교회는 정서적·정신적 약자를 품을 수 있을 것이다.이제부터는 '정품교회론'의 가능성과 현실적 솔루션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관한 글을 다섯 번에 걸쳐 전개할 것이다.1) 신인류 '포노사피

    연재
    고직한
    2020-10-12
  • 조울증의 쓰나미가 몰려올 때 나는 무엇을 붙잡았나

    조울증의 쓰나미가 몰려올 때 나는 무엇을 붙잡았나

    이유7) 사이코를 사이코패스처럼 공포스럽게 생각하고 혐오해 낙인찍기 때문이다.둘째 아들과 관련한 몹시 아픈 이야기다. 둘째는 4년 전까지 13번 정신병원에 입원했다. 매년 1~2번씩 입·퇴원했을 정도로 상태가 안 좋았다. 근래에는 위급해서 한밤중에 내가 응급실로 데려간 적은 있어도 4년간 입원한 적은 없으니 얼마나 감사한지 모른다.7~8년 전의 일이다. 둘째 아들이 극심한 정신적·정서적 고통을 겪으며 부엌에서 식칼을 갖고 와 부들부들 떨며 나를 협박한 적이 있었다. 이 아이는 조증이 심할 때 종교망상을 겪는다. 자신을 성령이나 예수

    연재
    고직한
    2020-09-23
  • 기독교 관점에서 정신적·정서적 약자 돕고자 한다면

    기독교 관점에서 정신적·정서적 약자 돕고자 한다면

    이유4) 사이코와 그 가족이 뭔가 죄를 지었을 것이라고 정죄하는 분위기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얼마 전, 한 여집사님에게서 전화 상담 요청이 왔다. 대학생 딸이 외모 문제로 깊은 우울증에 빠져 있고, 죽고 싶다는 하소연까지 한다는 내용이었다. 절박한 마음으로 어찌하면 좋을지 물어 왔다. 나는 한참 사연을 듣고 나서 몇 가지 질문을 던지며 대화를 이어 갔다. 그러다가 가족력에 관해 물었는데, 그분의 아버지와 일가친척이 정신 질환적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잘 들으면서 공감해 주고, 적합한 전문의·

    연재
    고직한
    2020-09-02
  • 정신 질환에 대한 교회의 흔한 오해들

    정신 질환에 대한 교회의 흔한 오해들

    이번 글부터는, 지난 글에서 소개한 '사이코여서 괜찮지 않은 교회, 무엇이 문제일까' 10가지 이유를 하나하나 사실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렇게 해서 10가지를 성경적·실제적으로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려 한다.두 아들 부부와 우리 부부가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로 연결된 678명과 일대일 면담을 진행하면서 발견한 사실들은 충격적이었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내용은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적절하게 변형했다. 이 점을 감안해 주길 바란다.이유1) 사이코는 하나님의 저주라는 믿음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한 교회 권사의 하소연

    연재
    고직한
    2020-08-19
  • 사이코지만 괜찮아! 교회에서도?

    사이코지만 괜찮아! 교회에서도?

    요즘 '사이코지만 괜찮아'라는 드라마가 인기다. 생각해 본다. '사이코지만 괜찮아, 과연 교회에서도?'두 아들 부부와 우리 부부는 이제 678명이 된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와 일대일 면담을 진행하는데, 이들은 모두 '조우네마음약국' 유튜브를 접하고 SOS를 보내오는 사람들이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크리스천이다. 개개인과 아주 솔직하게 대화를 나누다 보면, 정말 상상을 초월하는 처참한 사연을 많이 듣게 된다.노골적으로 크리스천 정체성을 드러내지 않더라도, 대화를 나누다 보면 서로가 크리스천이라는 사실을 어느 정도 알게 된다. 이후로는

    연재
    고직한
    2020-08-05
  • 두 아들에게 찾아온 조울증, 지옥을 50번 겪었다

    두 아들에게 찾아온 조울증, 지옥을 50번 겪었다

    25년간 지옥을 50번 다녀왔다. 두 아들의 조울증 때문이다. 큰아들은 중학교 2학년 때, 작은아들은 대학교 1학년 때 발병했다. 한번 정신병원에 입원하려면 당사자와 가족들은 입원 전과 후에 최소 2~3번은 지옥에 다녀온다. 당사자가 자의 입원을 한다고 해도, 가족들은 그전에 수차례 지옥 같은 일을 겪어야 한다. 큰아들은 4번 입원했다. 음악을 하는 작은아들은 무척 예민해 약 부작용을 많이 호소하고 약을 자주 버리고는 했는데, 지금까지 13번 입원했다. 그러니까 2~3 X (4+13)인 셈이니, 25년간 50회 정도 지옥을 다녀왔다

    연재
    고직한
    2020-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