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앤조이>는 교계 현안과 크리스천의 삶에 대한 20~30대 청년의 이야기를 꾸준히 담아내기 위해 '2030이 한국교회에게'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많은 관심 바랍니다. - 편집자 주

신성한 교회에서 이런 표현을 써도 될지 모르겠지만, 교회에는 '지박령'이 있다. 호랑이 같은 관리집사님부터 야근 필수인 행정목사님 등 여러 사람이 지박령처럼 교회 붙박이가 되어 오래 머물곤 한다. 여기에 코로나 시국을 맞아 '방송 간사'가 추가되었다. 사람들이 모일 수 없게 되자 교회는 생존을 위해 영상 및 온라인 예배에 집중하기 시작했고, 방송 간사에 대한 수요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이제는 규모가 크지 않은 교회에서도 한 명 이상의 방송 간사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코로나 이전 방송 간사의 업무는 주로 예배를 위한 영상·조명·음향 기기를 운용하고 관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온라인 예배 시대가 열리면서 교회마다 온라인 콘텐츠에 힘을 쏟는 바람에, 기존 일에 더해 영상을 촬영·제작하고, 풀 밴드 녹음을 하고, 예배·특송 영상을 후편집하는 일을 더 많이 하게 됐다.

교회 내에서 방송 간사의 존재감은 확실하면서도 미미하다. 예배 때마다 자막을 손수 넘기고, 늘 FOH(Front Of House)에 앉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자막이 틀리거나 노이즈가 뜨지 않는 한 우리의 존재는 쉬이 가시화되지 않는다. 교인들이 내가 교회 직원인 줄 모르고 "학생! 여기 QR 코드 찍고 가!"라고 했던 건 귀엽게 넘길 수 있는 예삿일이다.

방송실이 어느 정도 규모가 있거나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 여기가 무슨 일을 하는 곳인지 교인들이 잘 알고 있다면 드문 경우겠지만, 간혹 예배 중에 방송실 문을 벌컥 열고 들어와 "여기 와이파이 없어요?"라든지 "핸드폰 충전 좀 해 주세요" 같은 황당한 말을 꺼내는 사람도 있다. 물론 방송실에는 전기 콘센트가 많고 인터넷도 잘 구축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다 용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마음대로 사용하게 해 줄 수가 없다. 자기들은 쓰면서 남들한테만 박하게 군다고 불평하지 않도록 하자.

방송 간사가 하는 일은 크게 네 파트로 나눌 수 있다. ①음향, ②영상(카메라), ③영상(자막), ④조명. 더 세부적으로 나누는 것도 가능하지만, 인원 배치를 위해서는 이 정도의 구분이 최선일 듯하다. 네 파트로 나눠진다는 말은, 최소 네 명의 인원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모두가 유급직이라면 제일 좋겠지만, 실상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소규모 교회에서는 한두 명의 유급 간사를 두고 봉사자를 교육해 인원을 충당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일부 교회에서는 한 명의 유급 간사로 모든 것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물론 "믿는 자에게는 능치 못할 일이 없다"는 말씀처럼 정말로 혼자 모든 것을 해내는 사람들이 있지만, 아마 그런 사람은 높은 확률로 화장실조차 가지 못해 방광염 같은 질환을 달고 살 거다. 어떻게 이렇게 구체적으로 아는지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겠다. 안쓰러운 나 자신…. 다행히도 이젠 옛날이야기다.

방광염 말고도 우리를 힘들게 하는 것은, 예배 때 필요한 MR 음원을 유튜브 링크로 들고 오는 일이다. 유튜브에 있는 음원은 저작권이 해결되지 않은 경우도 많고, 대부분 음질이 떨어져서 사용하기에 곤란하다. 게다가 음원이나 PPT 파일 등은 왜 항상 예배 직전에 갖다주는 건지…. 갖다준다고 다 틀어 줄 수 없는 경우(PPT 글씨가 깨진다거나)가 많으니 꼭 며칠 전에는 주도록 하자.

미리미리 갖다주기로 해요…. 사진 제공 박채림
미리미리 갖다주기로 해요…. 사진 제공 박채림

우리를 곤란하게 하는 게 몇 가지 더 있는데, 설교하던 목사님이 대뜸 "어디 몇 장 몇 절"을 외치는 순간이다. 갑작스런 주문에 동공의 떨림이 시작된다. 조금 늦는다 싶으면 "다른 교회 방송 간사는 바로 틀어 주던데, 우리 교회는 이런 건 좀 어려운가 봐요? 허허허"라고 강대상에서 선포하신다. 그 순간 방송 간사의 여린 마음은 바사삭 깨져 버리기 마련이다. 기출 변형으로 "우리 교회 영상은 약간 옛날 느낌, 촌스러운 데가 있죠?"가 있다. 나는 그저 잘 안 보인다고 해서 글씨를 키우고 테두리를 줬을 뿐인데….

굳이 그렇게 언급하지 않아도 우리는 꽤나 고생하는 사람들이다. 보상 없는 야근은 기본이요, 무리한 일정에도 어떻게든 결과물을 뽑아내는 사람들 아니던가. 설령 방송 간사가 조금 부족하더라도, 노력한 만큼 고생했다고 말해 주면 좋을 것 같다.

임금이나 4대 보험 같은 노동·인권 문제는 지겹도록 흔하지만, 최근에 꽤 신선하고 충격적인 사례를 봐서 덧붙이려고 한다. 지인 청년 방송 간사가 문득 연락해서는 "연말정산은 어떻게 하는 거냐"고 물어 왔다. 이 지인은 한 교회에서 7년을 넘게 근무했는데도 4대 보험에 가입되지 않아 한 번도 연말정산을 해 본 적이 없었고, 근로 이력이 있어야 받을 수 있는 청년층을 위한 복지 혜택도 전혀 받지 못하고 있었다.

또 다른 지인 청년 방송 간사는 파트로 근무했는데, 분명 4대 보험 가입 기준이 되는데도 교회 측이 가입을 거부하며 계속 미루다가 4대 보험을 가입하면 공제 금액을 제외하고 월급을 주겠다고 했단다. 결국 4대 보험이 아닌 '사업소득'으로 신고하겠다면서(사업소득 신고 대상이 아니다) 종합소득세 명목으로 월급에서 3.3%를 공제해 갔는데, 나중에 확인해 보니 종합소득세 신고도 돼 있지 않았다. 이에 항의하니 교회 측은 "아직 어려서 잘 모르나 본데, 배운다는 마음으로 해"라고 대응했다고 한다. 결국 그 지인은 부당한 처우에 못 이겨 교회를 그만둬야만 했다.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하나님, 저는 PPT를 만들어요…. 사진 제공 박채림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하나님, 저는 PPT를 만들어요…. 사진 제공 박채림

우리는 과로에 시달리면서도 대부분 턱없이 낮은 임금과 4대 보험 미가입 같은 대우를 받고 있다. 방송 간사로 n년을 일하다 보니, 이쯤 되면 직종상 과로는 어쩔 수 없나 싶기도 한데, 정말로 어쩔 수 없다면 보상이라도 잘해 줬으면 좋겠다. 나의 경우는 코로나 이후에 월 260시간, 주 60시간이라는 어마어마한 근로 기록을 세웠고, 교회에서는 당분간 쉴 수 있도록 근로 일자를 조정해 주었다. 다른 교회에서도 최소한 이 정도 노력은 해 줬으면 좋겠다.

우리는 왜 그런 고생을 하면서도 여전히 교회에서 일하는가. 나의 경우, 신학교를 다니며 고생을 워낙 많이 해서 결국 중퇴를 선택했지만 여전히 교회와 예배를 사랑하기 때문이다. 주변인들에게 '교회 부품'이라고 놀림을 당하면서도 교회와 예배가 좋아서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부당한 대우를 당한 지인 청년 간사 역시 여전히 교회를 섬기고 있다. 마음이 놓이는 교회를 발견했다고 종종 자랑도 하는 그를 보면 '사실은 다들 비슷한 마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누구보다 교회를 사랑하지만, 교회에서 착취당하는 그들. 교회는 그들을 잃기 전에 더 잘해 줘야 할 것 같다.

박채림 / 혹시 이 글이 우리 교회에 소문나지 않을까 두려운 사람.

저작권자 © 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