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월 6일 열린 김동식 목사 구명운동 관련 토론회에서 김 목사 사망설이 제기돼 진위여부를 놓고 시민단체와 정부관계자의 치열한 설전이 벌어졌다. ⓒ뉴스앤조이 이승규
"2000년 1월 피랍된 김동식 목사는 사상전향을 거부해 방치상태로 구금되어 있다가  2001년 2월 순교한 것으로 파악됐다. 김 목사 사망 당시 몸무게는 35kg이었으며, 평양 근교 삼원리 소재 조선인민군 91훈련소 구역 내에 안장된 것으로 파악됐다"(도희윤 피랍탈북인권연대 사무총장).

"얼마 전에도 모 국회의원이 김 목사 사망설을 제기해 확인해 본 결과 사실을 확인할 수 없었다. 2002년까지 김 목사를 봤다는 탈북자들의 증언이 있다. 확인되지 않은 첩보 수준의 얘기를 공개적으로 하는 것은 납북자 문제 해결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고경빈 통일부 사회문화국장).

1월 6일 한나라당 납북자 및 탈북자 인권 특별위원회(위원장 황우여) 주최로 열린 김 목사 구명운동 관련 토론회에서 김 목사 사망설의 진위여부를 놓고 정부관계자와 시민단체 간의 치열한 설전이 벌어졌다.

도 사무총장은 김 목사가 직장암 수술을 받아 주기적으로 필터를 갈아줘야 하는데 이런 치료를 받지 못하고 방치 구금돼 사망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고 국장은 사실 확인이 안 됐기 때문에 사망 여부를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시민단체, "정부 구명운동 너무 무성의"

▲ 도희윤 피랍탈북인권연대 사무총장. ⓒ뉴스앤조이 이승규
이날 토론에 나선 도희윤 사무총장은 "북한과 중국 내 협조자들을 통해 김 목사가 사망했다는 첩보를 입수했다"며 "정부가 김 목사 피랍사건에 얽힌 정보들을 공개하지 않는다면 시민단체가 입수한 정보들을 공개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도 사무총장은 이어 2000년 1월 외교부 영사과에 김 목사를 실종 신고한 뒤 같은 해 10월 납북자 명단에 김 목사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실상 구명운동을 종료했다며 정부의 무성의를 질타했다.

그는 이와 함께 △김동식 목사 피랍사건의 전모와 정부 차원의 생사확인 △사망했다면 유해 송환 일정 제시 △납치 사건으로 인한 정신적·육체적 고통을 당하고 있는 가족의 보호와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또 북한을 향해 속죄의 차원에서 납치테러와 관련된 모든 진상을 공개해 사과하고 즉각적인 송환에 적극 협력해 줄 것을 요구했다.

또 김대중 정부 당시 주요한 납치 관련자의 증언을 토대로 김 목사 구명운동을 전개하기는커녕 관련 자료를 모두 덮어버렸다고 주장했다.

정부관계자, "어려운 상황이나 최선을 다하고 있다"

▲ 고경빈 통일부 사회문화국장. ⓒ뉴스앤조이 이승규
고경빈 국장은 김 목사 사망설과 관련, "도 사무총장의 첩보 입수 능력은 뛰어나지만 납북 문제와 관련, 사실과 다른 것이 몇 번 있었다"며 "김 목사 사망 첩보 역시 사실이 아니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또 납북자 문제에 대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에 고 국장은 정부가 이를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북한 정부가 고의적으로 외면하고 있다며 정부는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성과가 없는 점은 이해해달라고 부탁했다.

고 국장은 김 목사 피랍사건에 대해 무성의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2000년 9월 김 목사를 납북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으며, 피납억류자 명단에 포함했다고 해명했다. 또 2000년 1월 피랍사실이 알려진 직후 김 목사의 가족들과 함께 연길 현장에 급파돼 연길시 공안국 관계관과 면담을 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2003년 1월에 있었던 남북적십자실무접촉에서 전쟁 중 납북자에 대해서는 생사와 주소 확인문제를 이산가족 면회소 착공식 이후 협의하기로 한 만큼 이를 실마리로 해서 전후 납북자 문제를 풀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참석자들, "도대체 어느 나라 정부인가"

그러나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사람들의 분위기는 정부에 우호적이지 않았다. 이들은 김 목사 피랍사건이 있은 지 5년이 지났음에도 생사여부조차 확인하지 못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김 목사를 비롯한 납북자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을 주문했다.

정부관계자가 해명을 했지만 이날 참석자들은 여전히 불신의 눈길을 보내고 있어 앞으로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