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정치지도자 양성을 위한 제2차 공의정치포럼 세미나가 '한국에서 공의정치 가능한가?'를 주제로 8월 29일 저녁 7시 30분 세종문화회관 4층 컨퍼런스홀에서 열린다. 김인수 교수(고려대 경영학과)가 발제하고, 신대균(행정개혁시민연합 사무총장) 황우여(한나라당 국회의원) 두 사람이 토론자로 나선다. 공의정치포럼은 지난 7월 20일 포럼 창립총회와 함께 첫번째 세미나를 개최한 바 있다.

'공의정치포럼'이란?
지난 6월 22일 창립된 '공의정치포럼'은 1999년 10월, 기윤실 기독교정치위원회에서 손봉호 교수가 제안함으로써 시작됐다. 기윤실은 그동안 정치영역에서 주로 간접적인 역할에 만족하고, 공명선거운동과 의정감시활동을 주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간접적인 방식으로는 한국 정치에 공평과 정직을 확립하기는 역부족이었다.

양심적인 인물들이 정치 분야에 거리를 두는 사이 한국 정치는 사기꾼과 범법자들이 우글거리는 우범지역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 사회에서 정치적 냉소주의를 부추기고, 결과적으로 더 질 나쁜 사람들이 정치인이 되는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었다. 정치적 대안이 없는 이상 유권자들은 냉소주의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기독시민들이 중심이 되어 공의로운 정치를 수행할 차세대 지도자들을 육성해야 한다는 합의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취지는 쉽게 호응을 얻었다. 김인수, 김진홍, 손봉호, 옥한흠, 이만열, 홍정길 등 6명이 선뜻 이 운동의 대표직을 수락했다. 이에 용기를 내어 취지에 알맞은 조직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해를 넘겨 1월에 개최된 수련회에서 명칭을 '공의정치포럼'으로 확정했다. 포럼 형식은 개방적이고 주제 중심이라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4월에 16대 국회의원 선거가 있었고, 시민운동 진영은 낙천낙선운동에 몰두해 있었기 때문에 운동의 출발은 5월경에나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정치적 대안이 없는 선거 정화의 노력이 얼마나 허망한지를 선거 후에야 깨닫게 되리라는 예측이 있었다. 불행하게도 선거가 끝난 지 얼마 안 되어 발생한 386세대의 술자리 사건과 장원 씨의 성추행 사건은 그 예측이 옳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취지에는 찬동한다 할지라도 공의로운 정치를 수립하기 위해 지도자들을 육성하는 일 자체는 지극히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우선 이 포럼의 목표가 아닌 것부터 논의되었다. 첫째, 기독교 정당을 추구하는 게 아니다. 둘째, 특정 개인을 밀어주는 단체가 아니다. 셋째, 일정한 기간 동안만 활동하는 단체가 아니다. 종교적 제한을 두지 않고 하나님의 공의를 실천할 세력이면 누구나 연대의 대상이 된다. 주로 현재 드러나지 않고 있는 인재들의 발굴이 목표이다. 그리고 한국 정치가 공의로워질 때까지(아마 영원히 완료되지 않겠지만) 진행되어야 할 운동이라는 점이었다.

그리고 대략 다음과 같은 사업을 하기로 의견을 모으고 있다. 우선 이 포럼에 참여할 사람들을 한국 정치에 참여할 활동가들과 이들을 보호·육성하려는 후원자들의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정치인, 관료, 시민활동가들이며 후자는 교수, 학생, 기업인, 주부, 직장인 등 광범위한 시민계층이다. 후자가 전자를 보호 육성하는 방법은, 첫째로 정책을 형성하고 이의 실천을 감시하는 것이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한 후원자들은 정치 일선에서 활동할 지도자들이 어떤 정책을 채택하는 것이 좋은지, 당선되고 나서 과연 공약한 대로 실천하는지를 감시하고 격려하는 역할을 맡는다. 둘째, 자원봉사자를 공급하는 역할이다. 주로 주부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하는 후원자들은 공의정치포럼에 참가하고 그 성실성을 인정받은 후보자들을 위해 자원봉사자로 참여할 수 있다. 셋째는 정치자금을 위한 후원회 결성이다. 포럼 소속의 정치인들이 깨끗한 정치를 할 수 있도록 공공적인 후원회를 구성하는 데 기업인들을 중심으로 하는 후원자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사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수록 한국 정치가 더욱 공의로워지리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현실에 한 발짝 더 접근하는 만큼 어려움과 위험도 더욱 커진다. 특히 정치라는 분야가 늘 그렇듯이 어느 사회에서나 가장 공의롭기가 어려운 분야이다. 그러나 한국 정치가 공의로워지지 않는 한 한국 사회는 영원히 공의로울 수가 없다.
저작권자 © 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