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6일 밤에 방영된 SBS의 기획물 ‘신의 길 인간의 길’ 제2부 ‘무함마드 예수를 만나다’는 이슬람에 관해 소개하며, 이슬람과 기독교와의 화해와 소통의 길을 모색한다. 이슬람의 경전이 예수를 동정녀에게서 탄생한 선지자라고 기록하며 또한 무슬림이 기독교의 하나님과 동일한 신을 유일신으로 믿는다는 것이 화해의 접촉점으로 제시된다.

또한 이 방영물은 기독교와 이슬람의 화해와 소통을 위해 기독교와 이슬람이 극복해야 하는 차이점들도 지적하였다. 기독교는 예수의 신성을 믿되 이슬람은 예수를 신으로 믿지 않는다. 기독교에서는 비폭력과 사랑이 강조되지만 이슬람 세계에서는 타종교로 개종하는 사람을 사형에 처하기도 하고 불신자들에게 폭력을 사용하는 것이 정당화되기도 한다.

그러나 기독교는 과연 이슬람과의 화해를 위하여 더 이상 예수를 신적인 존재로 믿지 않고 그저 위대한 선지자로 믿어야 하는가? 이러한 교리적 문제만 극복하면 이슬람이 기독교와 화해할 수 있을 것인가?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이슬람이 기독교를 싫어하게 된 것은 이러한 교리적 차이 때문이기보다는 십자군 전쟁이나 이라크 침공 등의 군사적 폭력에 지지를 표한 실천적 행동 때문이다.

이슬람이 폭력의 사용을 중단하고 기독교로의 개종을 허용하면 기독교와의 화해가 이루어지는가? 이슬람이 폭력을 사용하지 않고 기독교로의 개종을 허용한다면 미국이 아랍 지역에서 가진 석유에 대한 이권을 포기하고 더 이상 무력을 사용하지 않을 것인가? 그렇게 하지는 않을 것이다. 서방 세력의 무력 사용이 계속 되고 경제적 착취가 계속되는 한 이슬람 세력의 대응 폭력도 중단되지 않을 것이다.

이슬람이 사용하는 폭력은 서방 세계의 폭력에 의해 촉발된 측면이 강하다. 기독교 세계의 권력자들은 중세 시대 때부터 아랍 지역을 신앙을 명분으로 삼아 침공하기를 즐겨왔다. 중세 유럽의 십자군 전쟁 때부터 미국의 이라크 침공까지 돈에 눈이 먼 서방 세계의 권력자들은 기독교 신앙의 지원 아래 무슬림의 피를 흘리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이러한 폭력이 사라지지 않는 한 무슬림의 저항 폭력이 사라지기를 기대할 수는 없다.

또한 기독교인들에게 예수를 신적인 존재로 믿지 말고 그저 선지자로 믿으라고 강요할 수도 없다. 이것은 무슬림에게 기독교와 화해하기 위하여 그들의 경전과 무함마드를 버리라는 것이나 다름없는 강요이다. 화해와 소통은 자신의 본질을 포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고 서로에 대한 오해를 극복하고 서로를 이해하고 반성하고 용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예수의 정체는 예수에게 사형에 해당한다고 결정된 죄명으로서의 신성모독과 관련된다. 대제사장이 “네가 메시아냐?”고 질문하자, 예수는 “그렇다. 내가 권능자(하나님)의 오른 편에 앉은 것과 하늘 구름을 타고 오는 것을 너희가 볼 것이다”라고 대답한다(마가복음 14:62). 여기서 신성모독에 해당하는 것은 자신이 메시아라는 주장이 아니다. 메시아는 순교자 저스틴(Dial. Trypho 49)이 후에 인정하였듯이 단지 “사람들 중에 하나”일 수 있다. 신성 모독은 하나님을 모독하거나 자신을 하나님처럼 높일 때에 발생한다. 자 신의 정체를 단지 메시아일 뿐 아니라 신적인 존재라고 밝힌 예수의 주장을 인간들이 부정한 것이 예수의 죽음이었고, 이러한 예수의 주장을 하나님께서 긍정한 것이 바로 예수의 부활이었다. 따라서 기독교는 예수를 메시아로 믿을 때 그를 신적인 존재로 믿게 되었다.

자신을 신적인 존재라고 한 예수의 주장은 신성모독으로서 사형에 해당한다고 유대인 지도자들이 결론 내렸지만 돌로 치는 종교형에 처하지 않고 빌라도에게 넘겨 정치형인 십자가형을 받게 한 데에는 이유가 있었다. 예수를 나무 형틀에 매달리게 함으로써 나무에 달린 자는 하나님의 저주를 받은 자라는 율법(신명기 21:23)에 따라 예수를 하나님의 저주받은 자로 선언하려 한 것이다. 이러한 율법의 저주 선언을 무효화하는 사건(부활)이 없이는 예수가 율법을 믿는 유대인들에게 메시아로 믿어질 수 없었다. 따라서 부활로 인해 율법의 저주 선언이 무효화되고 예수가 메시아로 믿어지게 될 때에는 예수의 주장대로 신적인 메시아로 믿어지게 되었다.

이 기획물의 제2부는 이슬람의 문제점이 그들의 경전을 제대로 따르지 못하고 왜곡하는 것이 문제라는 것을 잘 지적하였다. 그런데 오늘날의 기독교의 문제점도 예수의 가르침을 제대로 따르지 못하고 왜곡하는 것이 아닐까? 기독교 세계 속에는 사랑과 용서보다는 권력과 재물을 추구하는 흐름이 있어 왔다. 그렇게 하는 것이 예수의 가르침에 정면으로 대항하는 것임을 알지 못하고 하나님과 재물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재물을 추구하기 위해 폭력을 사용하는 것을 주저하는 자들이 있어 왔다. 기독교 속에 들어온 이 암세포는 오늘날에도 좀처럼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 암세포는 속으로 기독교를 부패시킬 뿐 아니라 밖으로는 타종교와 불신자들이 기독교를 증오하게 만든다. 이슬람 세계가 기독교를 증오하게 된 데에는 재물을 추구하기 위해 무력의 사용을 주저하지 않는 거짓 기독교인들의 공로가 크다. 그들은 자신들의 추악한 실상을 기독교라는 가면으로 가리고 온갖 만행을 저지른다. 그리하여 그들은 결국 기독교의 이미지마저도 실추시키고 기독교 복음의 전도를 점점 더 어렵게 만들어 놓는다.

십자군 전쟁은 아랍 지역의 선교를 힘들게 만들었고, 미국의 이라크 침공이나 아프가니스탄 침공도 이슬람 세계가 미국과 기독교를 증오하게 만들었다. 네덜란드의 인도네시아 통치의 경우에도 인도네시아에 기독교 복음을 전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인도네시아가 무슬림으로 가득 차게 만들었다. 신앙을 명분으로 삼아 권력을 추구하는 사이비 무슬림이 이슬람 세계에도 있겠지만, 그들에게 먼저 명분을 준 것은 가이사의 것을 가이사에 준다는 핑계 아래 세속 정권이 하는 사악한 일을 지지한 사이비 기독교 세력이었다.

광우병의 원인은 사람이 소에게 제공한 동물성 사료이듯이 이슬람의 폭력성의 원인은 서구 세계가 아랍 세계에 제공한 폭력과 착취이다. 이러한 폭력과 착취를 찬성하는 태도를 보이는 기독교의 모습을 본다면 이슬람 세계는 말로는 예수를 전하지만 실제로는 예수를 따르지 않는 비일관성을 발견할 것이다. 그리하여 그들이 전하는 복음을 받아들이지 않게 될 것이다.

지금 한국 기독교는 눈앞의 세속적인 이익을 위하여 소수의 가진 자들을 위한 비성경적인 국정운영에 찬성하는 태도를 취하지 않도록 깨어 있어야 한다. 구약성서가 가르치는 하나님의 정의는 가난한 자들을 억울하게 해서는 안 될 것을 요구하며, 신약성서가 가르치는 하나님의 사랑은 불신자들에게마저도 자비를 베풀 것을 요구한다. 기독교 단체들은 결코 이익 집단으로 전락하지 말고 자신을 비워 아낌없이 세상을 비추는 촛불과 같은 존재로 남아있어야 한다. 그러한 기독교 공동체만이 참으로 예수의 교회라는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

신현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

저작권자 © 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