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에서 맞는 첫 추석의 모습을 보면서 많이 놀랐고 한편으로 무척 슬펐어요. 민족 대이동의 물결에 합류하지 못하는 제 신세가 한없이 불쌍하게 여겨지더군요."

김일성 종합대학을 졸업한 북한 엘리트 출신 김길선씨(45)는 99년 12월 남한으로 귀순했다. 김씨는 올해도 추석이 다가올수록 서글퍼지는 맘을 추스리기에 무척이나 힘이 든다.

"비롯 남편과 딸이 함께 넘어 왔지만 조상의 근본은 다 북한에 있어요. 탈북 후 부친은 사망했고 어머니는 추방당했죠. 제가 딸이기 때문에 어머니는 수용소까지는 안 갔지만 어차피 북한 전역은 수용소나 마찬가지예요."

비록 북한에서는 김일성과 김정일 부자가 조상이고 신 적이 존재처럼 되어 버렸지만 민족의 가장 큰 명절인 추석이 갖고 있는 근본적인 의미만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다.  

"북한에서도 추석엔 조상들에게 성묘를 드리죠. 추석날을 위해 1달 전부터 준비해요. 평소 먹는 것을 절약해서 제일 성의있게 제사상을 준비하죠."

그러나 북한 수도인 평양 주민들도 추석을 지내기 위해 만만치 않은 어려움을 겪는다.

"추석 당일 하루 쉬기는 해요. 그러나 그 전날 밤 8시까지 일해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또 추석날 하루 쉬었기 때문에 다음 휴일에는 쉬지 않고 나가서 일을 해야 해요."

북한에선 추석이 완전한 공휴일은 아니다. 비록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평양 주민들은 추석날 하루 쉬는 대신 공휴일에는 나가서 일을 해야 한다. 북한 정권은 민족 명절 마저 김일성 김정일 우상화 정책에 방해된다는 이유로 주민들이 불편을 감수하게 만들고 있다.    

평양 중심부에 묘지가 없기 때문에 주민들은 아침 일찍 혹은 새벽부터 제사상을 준비해 묘지로 향한다. 80리 길을 걷는 것은 보통이다. 그러나 이처럼 먼 걸음을 해야 하지만 추석이 1년 365일 중에 정든 가족과 조상을 만날 수 있는 유일한 날이다.

"사실 전 추석에 대한 기억이 그렇게 많지 않아요. 부모님은 살아 계시고 조부모는 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외국에서 사망했기 때문에 성묘할 기회가 없었죠. 결혼한 후 시댁 식구들과 차례를 지낸 기억이 전부예요."

김씨가 추석에 대한 기억이 많지 않은 것은 북한 특유의 우상화 정책의 영향 때문이기도 하다. 더구나 김씨는 가장 엘리트 코스라는 김정일 종합대학을 나올 만큼 철저하게 북한 체제에 길들여져 있었다.

"전 추석을 성의 없이 보냈어요. 김일성이 우상이고 모든 것이었죠. 조상의 의미는 사실상 깊이 느끼지 못했어요. "

북한의 지도층이 추석을 어떻게 지내는지만 봐도 김씨의 말이 금방 이해된다. 당 지도부원 이상의 지도층은 추석날 아침 성묘하기 전에 먼저 김일성 동상에 꽃다발을 증정한 후, 만경대의 김일성 증조부, 조부 그리고 김정일의 어머니 김정숙의 묘에 헌화하고 묵도한다.

추석날 아침의 평양 풍경은 두 종류의 긴 행렬로 시작하는 것이다. 걸어서 평양 시내를 빠져나가는 일반 주민들의 긴 행렬과, 김일성 동상과 그의 조상들에게 예를 드리기 위해 차례를 기다리는 지도층 인사들이 행렬이다.

그렇다면 북한의 최고 지도자 김정일은 과연 어떻게 추석을 맞을까.

김씨는 "그 양반은 신이니까 언제 가고 언제 오는지 어떻게 알겠느냐"고 말한다. 그 자체가 경배의 대상인 김정일의 추석날 행적이 신비로운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김씨는 또 스스로 신으로 군림하며 2300만 북한 주민들에게 숭배를 강요하는 김정일 정권에 대해서도 통렬한 비판을 가한다.

"나는 김정일이가 효자인 줄 모른다. 김일성이 죽었을 때 2300만의 통곡과 헌화를 강요하고, 생일날 전체 인민들을 참배시킨 것은 조상과 민족을 모두 모독한 것이다. 어느 나라 도덕에 그런 것이 있는가."

이제 너무나 다른 환경 속에서 두 번째 추석을 맞는 김씨는 어쩌면 분단이 낳은 비극의 가장 큰 희생자이다. 남한의 민족 대이동의 물결을 내심 흐믓한 심정으로 바라보면서도 부모와 생이별한 채 기구한 운명을 살아야하기 때문이다. 또 '부모를 버리고 저만 살겠다고 넘어왔냐'는 따가운 시선이 못내 안타깝다.

▲ⓒ뉴스앤조이 김승범
"삶의 터전과 부모와 이별한 가운데 살아가는 신세가 너무 슬퍼요. 때문에 추석이 다가오는게 두렵기도 하죠. 하지만 어쩔 수 없이 남한으로 올 수밖에 없었던 귀순자들의 상황과 심정을 조금만이라도 이해해 주었으면 해요."

김씨는 "탈북자만큼 부모를 사랑이 간절한 사람도 쉽게 찾아 볼 수 없을 겁니다. 저는 이제 북한의 모든 부모들을 위해서 남은 여생을 헌신할 거예요"라고 말한다.

자신이 남한으로 넘어 온 것은 결국 북한 독재를 붕괴시키고 모든 이산 가족들이 자유스럽게 만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 이 부분에서 김씨는 하나님의 이름을 자연스럽게 거론했다.

"탈북자들이 사선을 넘어 오는 것은 하나님의 깊은 뜻이 있다고 믿어요. 700만이 추석을 함께 즐길 수도 있게 하고, 희망과 기쁨이 넘치는 국가를 이룩하기 위한 것이죠."

김씨는 올 추석에는 황장엽씨와 김덕홍씨 등과 조촐한 식사를 함께 하겠다고 말한다. 김씨는 현재 탈북자동지회가 발행하는 회보 <민족통일> 편집장으로 있고, 황씨와 김씨는 각각 탈북자 동지회 명예회장과 회장으로 있다. 또 황씨와 김씨는 김일성 종합대학 총장과 교무부장으로 있던 당시 김씨가 대학을 다니고 있어서 사제지간인 셈이다.    

김씨는 1977년 김일성 종합대를 졸업하고 77년 5월부터 79년 6월까지 '3대 혁명소조'에서 근무했다. 또 79년부터 96년 5월까지 '제2자연과학 출판사'에서 군수부문과 정치선전 편집부 소속의 기자로 일했다. 미사일 관련 분야에도 접촉할 수 있었다.  

북한의 핵심 기관을 두루 거친 김씨가 자신이 그토록 신봉하던 체제의 희생양이 된 것은 '말 반동'에 걸렸기 때문이다. 즉 사석에서 김정일의 사생활의 문제점을 거론한 사실이 결국 국가보위부 정보망에 걸려 40일 동안 취조 당한 후 함경북도 김책시로 추방당했다. 그의 지위도 최고 엘리트에서 단순 노동자로 전락했다.

"96년 1월 '말 반동'에 걸렸죠. 일종의 살인죄보다 큰 대역죄인데 김정일 권위를 훼손했다는 이유에요. 김정일 도덕성 문제를 사석에서 비판했는데 어떻게 국가 보위부까지 알려져서 어쩔 수 없이 추방당하는 신세가 됐어요."

이제 남한에서 새로운 삶에 적응하고 있는 김씨는 김정일을 버리고 대신 하나님을 자신의 모든 것으로 택했다. 성경에 근거해 죄를 씻고 선을 쌓아가는 신앙생활 속에서 참다운 아름다움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회의 모습에서 '스산한' 모습도 발견했다.

"목사 세습 한다는 '스산한'일도 있구, 너무 물질 중심적인 모습도 있더군요. 그러나 전 너무 감사해요. 제가 굶지 않고 직업도 갖게 해 주시고, 타고 다닐 수 있는 '마티즈'를 주신 것도 감사해요."

김씨가 가장 감사하는 것은 "먼저 남한에 와서 북한 주민들의 고통을 하루빨리 종식시킬 수 있도록 통일을 위해 조금이라도 힘을 보탤 수 있도록 해 주신 것이다"고 말한다.
저작권자 © 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