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 성경 <역대상> 4장 9-10절에는 한 토막 짧은 이야기가 들어 있다.

9 야베스는 그의 형제들보다 존경을 받았는데, 그의 어머니는 고통(苦痛)을 겪으면서 낳은 아들이라고 하여 그의 이름을 야베스라고 불렀다. 10 야베스가 이스라엘 하나님께 "나에게 복에 복을 더하여 주시고, 나의 영토를 넓혀 주시고, 주의 손으로 나를 도우시어 불행을 막아 주시고, 고통을 받지 않게 하여 주십시오" 하고 간구하였더니, 하나님께서 그가 구한 것을 이루어 주셨다(표준새번역).

"야베스"라는 인물이 나온다. 그는 자기 형제들 가운데서 아주 존경을 받는 인물이었다고 소개되어 있다. 그의 어머니는 그 아들을 낳을 때의 "해산(解産)의 고통(苦痛)을 잊지 못하여, 아들의 이름을 야베스라고 지었다고 한다. "야베스"라는 이름은 "해산의 고통"을 뜻하는 히브리어와 발음이 비슷하다.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야베스의 어머니가 정상적인 여성이 아니라고 볼 수도 있다. 어머니들이야 모두 해산의 고통을 치르고서 아기를 낳기 마련인데, 자기가 낳은 아들의 이름에 그 산고(産苦)의 기억을 새겨 넣어서 어쩌겠다는 것인가? 자기 아들이 평생 자기 어머니가 고통 속에서 자기를 낳았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것은,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잔인하기까지 하다.
  
아들 야베스가 하나님께 드린 기도의 내용을 보자. 넓은 땅을 달라고, 영토를 넓혀달라고 빈 것도 그렇고, 그 전에 복에 복을 더하여 주실 것을 빈 것 등을 보면, 그의 믿음의 태도를 기복신앙(祈福信仰)이라고 매도할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러나 풀리지 않는 숙제는, 어쩌면 하나님께서 그러한 이기적인 기도, 기복신앙에 젖은 그러한 기도를 들어주셨는가 하는 점이다.

우리는 야베스의 어머니와 야베스의 삶을 다른 시각에서 볼 수도 있다. 야베스의 어머니의 경우를 먼저 보도록 하자. 모든 사람이 다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여성의 해산의 고통을, 여성들마저도 당연한 운명처럼 받아들이고 있는 해산의 고통을, 이 여성은 남성인 자기 아들의 이름에 새겨 넣어서, 모든 남성들에게 여성의 해산의 고통을 기억하도록 하고 있다. 어머니는 자신의 고통을 호소할 가장 가까운 대상으로 남성인 아들을 선택하고 있다. 어머니로서는 자기의 아들이야말로 여성인 자기의 호소를 들어줄 남자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여성 자신이 직접, 자신의 고통을 나누자고, 자신의 고통을 남성들이 알아달라고, 여성들의 아픔을 남성들이 기억해 달라고 호소한다는 사실이 퍽 소중하다. 그리고, 그러한 호소가 그의 아들에게는 먹혀든 것이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인 야베스에게서도 우리는 다른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 그는 단순히 복에 복을 더 받으려는, 복을 받고 또 받고자 하는 기복주의자가 아니라는 점이다. "야베스"라고 하는 자신의 이름 자체가 "고통"이란 뜻을 지녔기 때문에 그의 생애가 고통으로 점철될지도 모른다는 불안이 그를 언제나 지배했을 것이다. 그런데, 그는, 자기의 이름이 자기에게 불행을 가져다줄 수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의 고통을 상기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아들로서 어머니의 고통을 함께 나누어야 한다는 인식 때문에 어머니가 지어준 그 이름을 버리지 않는다. 다른 좋은 이름으로 개명(改名)을 하지도 않았다. 바로 이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통"을 뜻하는 야베스라는 이름이, 듣기에 즐거운 이름은 아니지만, 어머니의 한(恨)을 담고 있는 숙연한 이름이기에 그 이름을 그대로 가지고 살고자 하는 것이다.

이름이 나쁘다고 개명한 사람들이 있다. 야곱의 막내아들"베냐민"은 개명된 이름이다. 본래 이름은 "베노니"였다. "내 슬픔의 아들"이란 뜻이다. 그의 어머니 라헬이 이 아들을 낳고 산고로 죽어 가면서 그렇게 이름을 지었다. 이 이름을 개명한 것은 라헬의 남편 야곱이다. 한 편으로, 야곱은 막내아들의 이름이 산고로 죽은 제 어머니의 슬픔을 지닌 이름이기에 이 이름의 소유자에게 불행이 닥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다른 한 편으로는, 늙은 야곱은 자기가 마지막으로 한 번 더 힘을 써서 낳은 아들이기 때문에 자신의 건장함을 과시하기 위해 "힘의 아들"이라는 뜻으로 개명을 한 것이다.
  
야베스가, 한 편으로, 하나님께 복에 복을 더 주실 것을 빈 것은, 어머니의 산고가 담긴 그 불행한 이름을 지니고 살아도, 그 이름이 자신의 생애를 불행하게 만들지 않게 해달라는 기도인 것이다. 그가 물질의 복을 받지 못한다면, 사람들은 그것이 그의 이름 때문이라고, 그의 어머니가 방정맞게도 아들의 이름에다가 여인의 해산의 고통을 담아 지었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야베스는 그러한 욕을 먹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다른 한 편, 야베스가 하나님께, 자기 일생의 어느 대목에서 어떤 고난이 닥쳐 올 수도 있음을 예감하면서 하나님께서 지켜주실 것을 빌고 있는 것 역시, 이름이 한 사람의 운명을 결정한다는 통속적인 믿음을 부정하고 싶어서였을 것이다.

누가 뭐라 해도, 야베스로서는 자기 어머니의 아픔이 새겨져 있는 그 이름이 소중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불행한 이름이 불행을 가져온다"는 통속적인 믿음을 부정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래서 야베스는 자기의 어머니가 자기에게 지어준 그 이름이 불행을 가져오기는커녕 오히려 복을 가져왔다는 것을 과시하고 싶었을 것이다. 어머니의 아픔을 함께 나누었더니 오히려 하나님께로부터 복을 받더라는 것을 과시하고 싶었을 것이다. 불행한 이름을 가졌다 하더라도 불행한 이름과는 무관하게, 아니, 오히려 어머니의 고통을 기억하는 그러한 이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주시는 복을 받게 해 달라고 기도했더니, 하나님께서 그의 기도를 들어주셨다는 것이다.

야베스의 어머니의 모험적 용기와 그의 아들 야베스의 믿음은 오늘의 우리들에게도 감동을 줄 수 있고, 우리 남성들의 잘못을 뉘우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야베스의 어머니처럼 자신의 아픔을 외치는 여성들의 부르짖음이야말로 남성들의 그릇된 고정관념을 깨우쳐주는 힘이 있다.

야베스의 어머니에게서 뿐만 아니라 야베스에게서도 배울 바가 있다. 야베스의 믿음, 곧, 예상되는 타고난 운명을 수용하지 않고, 하나님의 선하신 간섭으로 그 운명을 바꿀 수 있다고 하는 강한 믿음이 야베스에게 있었고, 그래서 하나님께 그런 운명을 바꾸어 달라고 기도하였고, 그랬더니 하나님께서는 그 믿음을 보시고 야베스의 기도에 응답해 주셨다는 것이다. 겉보기에는 그가 복의 복을 간구한 것처럼 되어 있지만, 그는 지금 많은 사람들이 그의 이름에 담긴 불행한 뜻 때문에 그의 운명도 불행해질 것이라고 하는 막연한 미신을, 오히려 어머니의 산고를 기억하는 아들은 복을 받는다는 확신으로 바꾸고 싶은 것이고, 그래서 하나님께 복에 복을 주실 것을 빈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가 복을 빈 것은 탐욕에 근거한 단순한 기복신앙이 아니다.
    
여성들에게는 여성이기 때문에 당하는 고통이 있다. 여성들은 그 고통을 남성들에게 호소하고, 그 고통 속으로 남성들의 참여를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그 고통을 감추거나 혼자서 참고 있어서는 극복할 수 없다. 남성들이 잘 들으려 하지 않을 것이지만, 그것이 여성들의 의사표시를 위축시키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는 말이다.

남성들의 경우에는 어머니들이, 아내들이, 딸들이, 며느리들이 그들의 고통과 슬픔을 새겨놓는 곳을 찾아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의 어머니들은 감히 자식의 이름에 당신들의 고통을 새겨 넣지 않는다. 히브리 여인들은 자식의 이름이라도 짓는데, 우리 어머니들은 자식들의 이름도 마음대로 못 지었다. 어머니들이 자신들의 고통을 새겨 넣는 경우가 있다하더라도 당신들의 아들들이 모르는 곳에 당신들의 슬픔과 고통을 새겨 넣는다.

그런데, 우리 남성들이 그 곳을 찾지 못한다면, 그래서 우리가 어머니들의 고통을 이해하지도 못하고 그 고통에 동참하지도 못한다면, 우리는 어머니에게 효자일 수도 없고, 아내에게 좋은 남편일 수도 없고, 딸들에게 좋은 아버지일 수도 없고, 며느리들에게 좋은 시아버지일 수도 없을 것이다.

특히 젊은 남편들은 아내들이 아기를 낳는 그 현장에 함께 있어서, 생명이 탄생되는 그 순간을 지켜볼 뿐만 아니라, 고통 당하는 아내들의 고통에 조금이라도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여성들의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누는 것이 남성이 되는 길이고 사람이 되는 길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