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 식민지부터 산업화 시대까지, 한국 기독교의 발자취를 담은 <한국 기독교 흑역사>가 출간됐다. 저자 강성호 씨가 5월 27일 서울 혜화동 호모북커스 사무실에서 강연하고 있는 모습. 강 씨는 성균관대 일반대학원 사학과에서 한국현대사를 공부했다. 역사 전환기에서 한국교회가 걸어온 과정을 짚었다. ⓒ뉴스앤조이 이용필

[뉴스앤조이-이용필 기자] 한국 기독교는 130년 짧은 역사에도 세계적으로 유례 없는 성장을 이뤘다. 1970~80년대를 거치며 교세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교세 확장과 함께 기독교는 정치·사회·경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영향력을 키워 왔다. 하지만 오늘날 기독교는 '환대'는커녕 '개독교'로 불리며 비난 대상이 되고 있다.

일부 기독교인은 지금과 달리 과거에는 기독교가 존경의 대상이었다며 아쉬워한다. 1919년 3·1운동을 이끌었던 멤버 상당수가 개신교인이었다는 등 독립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근현대기에 기독교가 의료·교육·경제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장로 출신 이승만 대통령의 공로도 빠지지 않는다.

과연 80~90년 전 기독교는 지금과 달랐을까. 최근 나온 <한국 기독교 흑역사>(짓다)를 보면 꼭 그렇지만은 않다. 기독교는 그때에도 주류 문화에 편승하기에 바빴고 추문도 끊이지 않았다.

5월 27일 서울 혜화동 호모북커스(김성수 대표) 사무실에서 열린 <한국 기독교 흑역사> 저자와의 만남에서 강성호 씨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한국교회의 민낯을 소개했다.

그는 기독교가 일제강점기부터 주류 문화에 편승하려 했다고 말했다. 강제적으로 일본에 협력한 것도 있고, 자발적인 측면도 있다. 저자는 그 이유를 '제도화된 교회', '제도적 기독교' 유지, 생산·확대에서 찾았다. 신사참배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일본의 침략 전쟁에 물자를 지원하고, 전쟁 협력을 성서적으로 정당화했다.

"1939년 9월 제28회 장로교 총회에서 열린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예수교장로회연맹의 결성식을 들 수 있다. 장로교회의 전쟁 협력을 공식화한 이 행사에서 한경직 목사는 유일한 성서 본문으로 로마서 13장 1~7절을 인용했다. 총회 차원에서 신사참배가 결의된 지 1년이 지난 시점이었다. 여기에서 한경직 목사는 일제가 하나님이 세운 권세인 만큼 일본이 수행하는 전쟁을 기독교인들이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해야 함을 주장하기 위해 로마서 13장을 봉독하였다." (161~162쪽)

식민지 경험은 기독교인의 의식과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저자는 "(일제) 식민지 경험을 통해 (기독교가) 전쟁을 지지하기 시작했다.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 이라크전쟁 등에 기독교가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거나 지지한 가장 큰 이유는, (식민지 시절) 군사의 논리를 내면화하면서 폭력에 대한 거리낌이 없어졌다"고 설명했다.

▲ <한국 기독교 흑역사>는 △식민지 경험과 기독교 △해방 이후 냉전 체제 속 기독교와 독재 정권의 만남 △산업화 시기 권력화된 한국 기독교의 추문 등 크게 세 가지로 구성돼 있다. 책은 한국교회의 스캔들을 다루지만, 단순히 비판에 머물지 않는다. 기독교 서적들에서는 '생략'되고 '왜곡'된 기독교 관련 내용에 집중하고 있다. ⓒ뉴스앤조이 이용필

정권 옹호하며 받은 대가들

이 책은 크게 △식민지 경험과 기독교 △해방 이후 냉전 체제 속 기독교와 독재 정권의 만남 △산업화 시기 권력화된 한국 기독교의 추문으로 구성돼 있다.

저자는 해방 이후를 '정교 유착'의 역사로 보고 있다. 극우 반공주의로 대표되는 서북청년회는 학살과 폭력에 가담했는데, 기독교인들이 상당 부분 관여했다. YMCA는 이승만 정부의 도움으로 회관을 재건했다. 기독교는 5.16 군사 정변으로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 전 대통령과도 밀월을 이어 갔다.

총신대는 박 전 대통령의 삼선 개헌을 옹호하는 대가로 재단 설립을 인가받았다. 이 시기 생겨난 '국가조찬기도회'는 정권 홍보용으로 전락했다. 한국대학생선교회(CCC)를 세운 김준곤 목사는 5.16 군사 정변을 '혁명'이라고 말하며, 하나님의 도움으로 성공했다고 치켜세웠다. 1973년 국가조찬기도회에서는 "경제 기적과 함께 사랑의 기적을 일으키자. 10월 유신은 하나님의 축복을 받아 기어이 성공시켜야 한다"고 설교했다.

흥미로운 점은 정권에 대한 이런 노골적인 찬양이 구체적인 특혜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김준곤 목사는 박 전 대통령에게 구 러시아 공관을 달라고 요청했다.

"한국대학생선교회가 문화공보부장관에게 보낸 <한국학생아카데미 사업계획서>에서 '박 대통령 각하의 특별 배려로 마련한 구 러시아 대사관 자리 1,700평 대지 위에 세운다'라는 표현이 있는 것도 이러한 연유에서다. 결국 한국대학생선교회는 국내 선교 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대규모의 자체 건물을 세울 수 있었다. 이리하여 한국대학생선교회의 정동 빌딩은 한국 기독교가 독재 정권과 결탁하여 어떻게 특혜를 누릴 수 있는가를 잘 보여주는 상징물이 되었다." (232쪽)

저자는 산업화 시기를 거치면서 한국인들 사고에 '물질적 가치관'이 자리 잡았다고 말했다. 모든 가치가 물질주의로 환원됐다. 가령,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과'는 '공'으로 환원됐다. 경제를 부흥시켰다는 이유만으로 말이다.

교회도 예외는 아니었다. 큰 것에 집중하고, 부동산에 대한 집착도 커졌다. '큰 게 아름답다'는 기치 아래 대형 교회 시대가 도래했다. 부작용도 뒤따랐다. 무리한 건축으로 교회들은 빚을 떠안게 됐다. 자기 몸을 팔아 교회 빚을 갚겠다는 신도까지 나오며 사회적으로 논란이 됐다. (252쪽)

산업화 시기에 등장한 '기독교 기업'도 논란을 피하지 못했다. 노동자들에 대한 대우는 열악했다. 기독교를 내세우며 일요일에 교회에 나가지 못하게 막았다. 저자는 "당시 노동자들은 교회에 나가도 위로를 받지 못했다. 오히려 더 열심히 일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교회에서는 '이 세상은 힘들지만, 천국에서 행복을 누릴 수 있다'며 기업주 입맛에 맞는 설교가 퍼졌다"(290쪽)고 말했다.

<한국 기독교 흑역사>는 한국교회의 스캔들을 다루지만, 단순히 비판에 머물지 않는다. 기독교 서적들에는 '생략'되고 '왜곡'된 기독교 관련 내용에 집중하고 있다. 일제 식민지부터 해방, 전쟁과 산업화 시기를 거치며 기독교가 그 안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고 무슨 일을 했는지 알고 싶다면 일독을 권한다.

저작권자 © 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