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신대학교 사당과 양지캠퍼스에 걸린 현수막. 총신대 재단이사회가 탐라대학교를 매입하려는 사실이 알려지자, 학부생·신대원생·직원들은 적극 반대했다. ⓒ마르투스 구권효

총신대학교 재단이사회(김영우 이사장)가 제주도 서귀포시에 있는 옛 탐라대학교를 매입하는 절차를 밟고 있다. 탐라대 매입 건은 지난 3월 재단이사회에서 '국제학교 개설'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거론됐고, 5월 전국 목사·장로 대회 후에는 재단이사들이 현지답사까지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진 6월 초 총신대 학부생·신대원생·직원들이 재단이사회의 무리한 교비 사용을 우려하며 반발했다. 그러나 이사회는 총신대 구성원들의 반대에도 6월 22일 탐라대 매입을 추진하겠다고 결의했다.

탐라대는 2011년 7월 옛 제주산업정보대학과 통합해 제주국제대학교가 됐다. 당시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를 승인하며 2016년 1월까지 탐라대 터를 매각해 통합 대학교 교비로 전입하라는 등의 지시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탐라대 부지와 건물의 탁상 감정가는 280~300억 원이다.

제주국제대 관계자는 "탐라대 입찰은 학교법인이 직접 하지 않고, 공신력 있는 기관에 위탁해 진행할 것"이라며 "아직 위탁 기관도 정해지지 않은 상태"라고 했다. 총신대의 탐라대 매입과 관련해서는 "의향이 있다는 정도만 들었다. 정식으로 접수된 건 없다"고 했다.

총신대와 서귀포시가 MOU(양해 각서)를 체결한 것으로 드러났지만, 서귀포시청 관계자는 "MOU 체결은 서귀포 지역에 대학교가 없으니 대학을 설립할 때 행정적인 절차를 지원한다는 것일 뿐이다"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하지만, 총신대 재단이사회의 탐라대 매입 의지는 확고해 보인다. 총학생회는 "김영우 이사장은 구체적으로 탐라대 매입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으나, 총신대를 종합대학으로 세우고자 하는 의지를 표명했다"며, 탐라대 매입을 염두한 발언으로 해석했다.

학부생과 신대원생, 직원 등 총신대 구성원들은 반대 입장을 적극적으로 드러냈다. 학부 총학생회는 스마트폰 메신저로 입장을 유포했고, 신대원 원우회는 서면으로 입장을 밝혔으며, 전국대학노조 총신대지부는 사당·양지 캠퍼스에 현수막을 내걸었다.

학생들은 재단이사회가 탐라대 매입에 교비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총학생회는 "총신대는 절대적으로 교비에 의존하여 운영된다"며 "탐라대 건물을 매입하기 위해서는 교비 외에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이 없다"고 했다. 또 총학생회는 "교비의 70%는 학생들의 등록금이기 때문에 당연히 학생들을 위한 학교 운영에 사용되어야 함이 마땅하며, 그 사용에 있어서도 다수의 학생들이 납득할 수 있는 사안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우회도 같은 입장이다. 원우회는 "송전탑 이설, 강의동 리모델링, 교수 충원, 등록금 인하의 기본적이고 본질적인 현안들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당위성 없는 탐라대 매입을 절대 허용할 수 없다"고 했다. "탐라대를 매입하고자 하는 재단이사회가 제시한 당위성과 학내 현안을 도외시하는 무리한 사업 추진에 절대 동의할 수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고도 했다.

또 총학생회는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사항들에는 몇 년째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본교 학생들과는 관련 없는 종합대학교 건립에 속전속결하고 있는 이사회에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또 "총신대는 학교의 경제적 성장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며 "종합대학교 설립 자체의 가능성도 의심되고, 한국의 현실을 비춰봤을 때 이미 실패한 곳에 성공적인 종합대학교 운영 또한 비관적이다"고 논박했다. 원우회도 재단이사회의 탐라대 매입이 비현실적이고 무리한 사업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구권효 / <마르투스> 기자
본보 제휴 <마르투스>(www.martus.or.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